지난 글에서는 연금저축 투자가능상품 5가지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지난 글을 읽으신 분이라면 연금저축, 그대로 현금으로 두고 계신 분은 없으시지요? 이번에는 저희 나나스푼 연금저축 ETF 포트폴리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나나스푼도 이번 연도부터 연금저축 계좌를 신규 개설하고 투자를 시작하였습니다. 저희집에서는 연금저축 계좌를 어떻게 운용하고 있는지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연금저축 ETF 포트폴리오 구성 원칙

연금저축은 기본적으로 노년까지 바라보는 장기 투자 상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래오래 적립식으로 모아가면 좋은 것이 무엇일까를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저는 장기로 꾸준히 모아가기 좋은 상품은 주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 중 연금저축에서 투자할 수 있는 ETF들은 개별 종목이 아니기 때문에 위험부담이 적습니다. 또한, 주식 시장은 장기로 보면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ETF 장기 투자는 수익을 볼 수밖에 없는 선택입니다. 대신 어떤 ETF를 선택하는지가 관건이 되겠지요.

연금저축 ETF는 안정적인 투자와 공격적인 투자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미국 지수 투자와 같은 안정적인 투자를 통해 안정성을 높이고, 미래가 기대되는 공격적인 ETF도 작은 비중으로 담아놓는 것입니다. 이렇게 적립식으로 모아가다보면 먼 미래에 높은 계좌수익률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연금저축 ETF 추천

지금부터 연금저축으로 투자하기 좋은 ETF 5가지를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안정적인 투자를 위한 ETF와 다소 공격적인 투자를 위한 ETF를 함께 포함하였습니다. ETF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FUN ETF 사이트를 참고하였습니다.

[1] KODEX S&P500TR

KODEX S&P500TR은 삼성운용에서 운용하고 있는, 미국 S&P500 지수에 투자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한국 ETF 상품입니다. ETF 명칭 뒤에 붙은 TR은 발생한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고 재투자하는 상품을 말합니다. 연금저축 상품이기 때문에 우리는 당장 배당금을 받을 필요가 없고, 오히려 배당금을 미래를 위한 투자에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TR 상품을 선택하였습니다.

KODEX S&P500TR의 시총은 현재 1조 9700억 정도에 달하고,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는 ETF입니다. 미국의 S&P500은 세계 최강 경제국인 미국의 500개 대기업을 추종하는 지수이니, 미래에도 시간이 지날수록 우상향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현재 화두가 되고 있는 AI를 이끌어가고 있는 기업들도 대부분 미국에 속해있습니다. 따라서 매우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총보수율은 0.0099%이고, 운용보수율은 0.0009%입니다. 대표적인 구성종목으로는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메타, 알파벳A, 버크셔헤셔웨이, 알파벳C, 브로드컴, 테슬라 등이 있습니다.

[2] KODEX 미국나스닥100TR

KODEX 미국나스닥100TR은 역시 삼성운용에서 운용하고 있고, 나스닥100에 투자할 수 있는 한국 ETF 상품입니다. KODEX 미국나스닥100TR 역시 뒤에 TR이 붙은 상품으로 배당금은 재투자에 활용됩니다.

KODEX 미국나스닥100TR의 시총은 1조 3700억 정도이고, KODEX S&P500과 마찬가지로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나스닥은 기술주 위주로 구성되기 때문에 S&P500보다는 덜 안정적이지만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미국의 나스닥100 기업들은 미래를 이끌어 갈 대부분의 기업들이 속해 있고, 성장성을 크게 기대할 수 있는 기업들입니다.

총보수율은 0.0099%, 운용보수율은 0.0009%입니다. 구성종목으로는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브로드컴, 메타, 테슬라, 알파벳A, 코스트코, 알파벳C 등이 있습니다.

[3] PLUS 신흥국 MSCI(합성 H)

PLUS 신흥국 MSCI(H)은 한화운용에서 운용하고 있는 다소 공격적인 투자를 위한 ETF입니다. 신흥국 MSCI 지수를 추종하는데, MSCI 지수는 중국, 브라질, 인도, 한국 등 약 20개의 신흥국의 우량 기업에 분산투자하는 지수입니다. 한국 주식 하시다보면, 어떤 기업이 MSCI에 편입되었다, 혹은 편출되었다는 뉴스를 접해보신 적이 있으실 것입니다.

ETF 명칭 뒤에 붙어 있는 (합성H)는 환헷지상품을 이야기합니다. 신흥국 투자 상품은 환헷지 상품이 적합합니다. 예전에는 1100~1200원 선을 왔다갔다 하던 달러 환율이 지금은 1300~1400선을 왔다갔다하고 있습니다. 달러는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우세한 화폐이기 때문에 환율이 계속해서 올라갈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환헷지 상품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총보수율은 0.5%, 운용보수율은 0.405%입니다. 신흥국 투자는 신흥국들이 엄청난 성장속도를 바탕으로 발전해나갈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하는 투자입니다. 1960년대의 대한민국이 현재의 대한민국으로 성장한 것처럼, 여러 신흥국들도 큰 발전을 이룩해나갈 것입니다. 먼 미래를 보았을 때 투자하기 좋은 ETF라고 생각합니다.

[4] KODEX 미국S&P500 헬스케어

KODEX 미국S&P500 헬스케어는 미국의 헬스케어 기업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전세계에서 고령화는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고령화 사회에서 헬스케어와 바이오 산업은 계속해서 성장해나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헬스케어와 바이오 산업은 개별 기업으로 투자하기에는 리스크가 있습니다. 헬스케어, 바이오 기업은 임상 시험이 실패하거나 자금 문제로 힘든 상황에 처하는 기업들이 생길 수 있기 떄문입니다. 따라서 KODEX 미국S&P500 헬스케어와 같은 ETF 상품을 통해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KODEX 미국S&P500 헬스케어는 삼성운용에서 운용하고 있고, 총보수율은 0.25%, 운용보수율은 0.229%입니다. 구성종목으로는 일라이릴리, UNITEDHEALTH, 존슨앤존슨, ABBVIE, Thermo Fisher Scientific 등이 있습니다. 미국 헬스케어 ETF 중 XLV지수와 관련이 깊은 편입니다.

[5] KODEX 미국S&P500 바이오(합성)

KODEX 미국S&P500 바이오는 미국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앞서 소개해드린 헬스케어 ETF보다는 조금 더 위험성이 있는 상품입니다. 중소 바이오 기업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위아래 변동성이 조금 더 큰 편입니다. KODEX 미국S&P500 헬스케어와 마찬가지로 고령화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해나가는 산업과 관련된 ETF이기 때문에 장기로 모아가기 좋습니다.

ETF 명칭 뒤에 붙은 ‘합성’은 다른 자산운용사에서 만든 ETF 상품을 추종하는 ETF를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운용수수료가 다른 ETF에 비해 높은 편입니다.

삼성운용에서 운용하는 KODEX 미국S&P500 바이오(합성)는 총보수율은 0.25%, 운용보수율은 0.209%입니다. 미국 바이오 ETF인 XBI 지수와 관련이 깊은 ETF이기 때문에 XBI에 대한 공부를 해보신 후 투자하시면 좋습니다.

미국 헬스케어 바이오 ETF인 XLV와 XBI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여기를 클릭하셔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연금저축 ETF 투자 방법

지금까지 연금저축으로 투자하기 좋은 5가지 ET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이 상품들을 어떠한 비중으로 투자하면 좋을까요?

일단 안정성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KODEX S&P500TR와 KODEX 미국나스닥100TR을 포트의 70% 이상으로 투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그 외의 상품들, PLUS 신흥국 MSCI(합성 H), KODEX 미국S&P500 헬스케어, KODEX 미국S&P500 바이오와 같은 상품들을 작은 비중으로 적절히 투자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을 마치며

지금까지 연금저축 ETF로 투자하기 좋은 상품들에 대해 알아보고, 어떠한 방식으로 투자하면 좋을지에 대해 다루어 보았습니다. 물론, 이는 개인적인 추천이기 때문에 주식 시장 및 섹터에 대한 공부를 더 해보신 후, 미래가 밝은 시장이나 섹터 ETF에 투자하시면 됩니다. 제가 말씀드린 내용을 참고로 하셔서 연금저축 ETF 투자에 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돈 버는 일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꾸준한 공부와 이를 바탕으로 한 투자가 결합될 때, 비로소 결실이 조금씩 맺히기 시작할 것입니다. 저도 그 길을 향해 열심히 투자 공부를 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연금저축 IRP 비교 분석

연금저축 투자가능상품 5가지

퇴직연금 관리하는 방법(DB, DC, IRP)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