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이오 주식의 급락과 조정으로 마음이 많이 힘드시지는 않으셨나요? 저는 국내 주식 중 바이오 비중이 큰 편이라 점점 줄어드는 계좌를 보며 마음이 많이 아팠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열심히 공부해야 합니다. 지난 글에서는 제약 바이오 산업에 대한 기초적인 부분에 대해 공부해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금 더 깊이 들어가 바이오플랫폼 기술과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원인베스트먼트 한균수 대표님이 유튜브에 바이오 플랫폼 기술 관련 영상을 올려주셔서 영상을 보고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는 바이오플랫폼이 도대체 무엇인지 궁금하신 분들께 도움이 되도록 꼼꼼하게 영상도 시청하고 정리도 했으니, 잘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바이오베터와 바이오플랫폼 기술

바이오 산업에는 신약을 개발하는 기업도 있지만, 바이오플랫폼을 개발하는 기업들도 있습니다. 바이오플램폼 기업들이 주목을 받고 있는 이유는 바이오베터 시장의 높은 성장 때문입니다. 바이오베터란 생물공학방식을 이용해 만든 의약품인 바이오 오리지널 의약품의 약효와 안전성, 편의성 등을 개선시킨 신약을 말합니다.

바이오베터 시장이 앞으로 연평균 8.1% 성장할 것으로 전망이 되는 가운데, 각 기업에서도 바이오베터 연구에 힘쓰고 있습니다. 바이오베터의 경우 신약 개발만큼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독자적인 특허를 인정받을 수 있고, 오리지널보다 2-3배 놓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익성이 매우 좋습니다. (바이오베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바이오베터 연구 기업들은 플랫폼 기술들을 활용해 약효, 안전성, 편의성 등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바이오 플랫폼 기술은 특정 약물, 적응증에 제한되지 않고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여 기술 이전을 여러 차례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플랫폼 기술을 가지고 있는 기업 A는 바이오 기업 a,b, c, d 모두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바이오 플랫폼 기업들의 전망은 매우 밝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플랫폼 기술

바이오플랫폼 기술에는 대표적으로 SC제형변경 플랫폼, 이중항체 플랫폼, ADC 플랫폼, 반감기 개선 플랫폼 등이 있습니다. 각각의 플랫폼 기술과 관련 기업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바이오플랫폼 기술에는 SC제형변경플랫폼, 이중항체플랫폼, ADC플랫폼, 반감기 개선 플랫폼이 있음

SC제형변경 플랫폼

SC제형변경 플랫폼이란 정맥주사 제형을 피하주사 제형으로 변경하는 플랫폼입니다. SC제형은 투약이 매우 간편해서 스스로 투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존에는 IV제형(정맥주사제형)으로 병원에서만 투여 가능했던 약품을 SC제형으로 변경하면 집에서 셀프주사가 가능한 것입니다. 편의성이 좋아지고 비용도 개선되기 때문에 굉장히 유용한 기술입니다. SC제형변경 플랫폼 기술을 가지고 있다면 여러 신약 개발 기업에 판매를 할 수 있습니다.

올해 초 주가가 승승장구했던 알테오젠은 SC제형변경 플랫폼 Hybrozyme으로 큰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히알루론산을 분해하는 재조합 효소 단백질, 약물확산제를 인간 히알루로니다제라고 하는데, 인간 히알루로다니제는 SC제형변경 플랫폼의 핵심 기술입니다.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SC제형변경 플랫폼을 갖고 있는 회사는 알테오젠과 미국의 할로자임 두 회사밖에 없습니다. 그만큼 알테오젠의 경쟁력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기존 의약품이 SC제형으로 변경될 경우 신약으로 허가해주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은 래미케이드를 활용하여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를 만들었는데, 램시마의 제형은 IV입니다. 셀트리온은 램시마의 제형을 SC제형으로 변경하여 램시마SC, 짐펜트라를 만들어 미국에서 신약으로 허가를 받았습니다.

이중항체 플랫폼

이중항체 플랫폼이란 하나의 항체에 두 가지 다른 세포가 결합되는 구조로, 한쪽은 암세포, 한쪽은 면역세포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항암 효과를 높이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가지고 있는 대표 기업은 에이비엘바이오입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Grabody 기술로 성장 동력을 높이고 있고, 한미약품, 앱클론도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ADC 플랫폼

ADC 플랫폼은 타겟 선택성이 높은 항체에 항암제 성분을 결합해 전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ADC 플랫폼을 통해 부작용을 줄이고 암세포만을 타겟할 수 있어 관심이 점점 증대되고 있습니다.

ADC플랫폼 대표 주자는 레고켐바이오ConjuAll입니다. 레고켐바이오는 이제 리가켐바이오로 사명을 변경했습니다.

반감기 개선 플랫폼

반감기 개선 플랫폼은 기존 의약품 대비 반감기를 늘려서 투여 횟수를 줄이는 기술입니다. 반감기를 늘려 투약 횟수를 줄이면 하루에 3번씩 먹던 약을 1번씩만 먹는다던지, 하루에 1번씩 먹던 약을 이틀에 1번씩 먹는 식으로 빈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투약 횟수가 많을 경우 사람들이 깜빡 잊고 약을 안먹게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반감기 개선 플랫폼은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기술입니다.

반감기 개선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는 제넥신, 한미약품, 알테오젠, 에이프릴바이오가 있는데, 그 중에서 에이프릴바이오SAFA가 주목할 만한 기술입니다.

바이오 플랫폼 기업에 대한 의견

바이오 플랫폼 기업은 미래 전망이 매우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유하고 있는 플랫폼 기술을 다양한 기업에 판매 혹은 기술이전을 할 수 있어 매출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 영상에서 한균수 대표님이 말씀하신대로 무한 확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는 우수한 바이오 플랫폼 기업들이 많이 있으므로, 꼼꼼히 공부해본 후 투자하면 좋은 결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금리 인하가 미루어지면서 제약 바이오 기업 주가가 많이 조정을 받았습니다. 조정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니 바이오 주식이 점차 하나둘 탄력을 받아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바이오 주식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자기 확신이 들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공부하고 투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주식 공부] 제약 바이오 주식 산업 정리 1편

[주식 공부] 제약 바이오 주식 산업 정리 2편

함께 보면 좋은 영상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