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이 답이다’라고 했던가요? 2024년 올 한 해에도 한국장은 지지부진하지만, 미국장은 나날이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미국주식의 주가가 매우 올라가있는 상황인지라, 헷지 차원에서 투자할 수 있는 미국 인버스 ETF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인버스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미국 인버스 ETF를 지수별로, 배율별로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인버스(Inverse)란?

인버스(inverse)란 ‘반대의’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영어 단어로, 주식 시장에서는 주가의 하락에 투자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인버스 ETF는 주가가 떨어질 경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ETF 상품을 이야기합니다. 앞으로 주가가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한다면 인버스 상품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버스 상품에 투자할 때에는 매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주가는 우상향하기 때문에 이 흐름에 반대되는 방향에 투자하는 인버스 상품은 장기로 투자하면 손실을 볼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포트폴리오에서 헷지를 하는 용도로 소액만 단기로 투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린이라면 인버스 상품에는 웬만하면 투자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인버스 ETF 종류

미국 인버스 ETF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미국에 있는 3대 지수인 S&P500, 나스닥, 다우존스 각각에 대하여 인버스 ETF가 있고, 인버스 레버리지 상품도 있습니다. 미국의 3대지수 별 인버스 ETF 상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지금부터 차근차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S&P 500 인버스 ETF : SH, SDS, SPXU

명칭인버스 배율
SH (ProShares Short S&P 500)1배 인버스
SDS (ProShares UltraShort S&P500)2배 인버스
SPXU (ProShares UltraPro Short S&P500)3배 인버스

S&P500 지수는 미국의 신용평가회사 Standard&Poors에서 약 500개의 대기업을 모아서 만든 지수입니다. S&P500 지수는 미국의 대표적인 주가 지수로, 미국에 투자한다고 하면 흔히 S&P500 지수 ETF인 IVV나 SPX에 투자를 많이 하곤 합니다. 자산운용사 Proshares에서는 미국 S&P500 지수를 인버스로 추종하는 ETF인 SH, SDS, SPXU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SH는 S&P500 지수가 하락하면 수익을 거둘 수 있는 ETF이고, SDS는 지수 하락 대비 2배로 수익을 거두는 ETF, SPXU는 3배로 수익을 거두는 ETF입니다. SH의 시총은 현재 $1.03B이고, SDS의 시총은 $472.43M, SPXU의 시총은 $547.60M입니다. S&P 500 인버스 ETF의 수수료는 모두 0.89%로 동일합니다.

미국 나스닥 인버스 ETF: PSQ, QID, SQQQ

명칭인버스 배율
PSQ (ProShares Short QQQ)1배 인버스
QID (ProShares UltraShort QQQ)2배 인버스
SQQQ (ProShares UltraPro Short QQQ)3배 인버스

Proshares에서는 나스닥 100 지수를 인버스로 추종하는 ETF 또한 운용하고 있습니다. 나스닥에는 우리가 흔히 기술주라고 표현하는 애플, 테슬라,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주식들이 포함됩니다. 대표적인 나스닥 ETF인 QQQ와 주가가 반대로 움직이는 ETF들입니다.

PSQ는 1배 인버스 상품이고, QID는 2배 인버스, SQQQ는 3배 인버스 ETF입니다. PSQ의 시총은 $657.90M, QID의 시총은 $267.84M, SQQQ의 시총은 $2.61B입니다. PSQ, QID, SQQQ의 수수료는 모두 0.95%입니다.

미국 다우존스 인버스 ETF: DOG, DXD, SDOW

명칭인버스 배율
DOG (ProShares Short Dow30)1배 인버스
DXD (ProShares UltraShort Dow30)2배 인버스
SDOW (ProShares UltraPro Short Dow30)3배 인버스

다우존스 지수는 미국의 30개 우량기업 주식들로 구성된 지수를 말합니다.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JP모건, 보잉, 비자, 월마트, 존슨앤드존슨 등의 기업들이 다우존스 지수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S&P500과 다른 점은 지표로 잡는 기업의 수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자산운용사 Proshares에서는 미국의 다우존스 지수를 반대로 추종하는 인버스 ETF 상품들도 운용하고 있습니다.

DOG는 다우존스를 인버스로 1배 추종하는 상품이고, DXD는 2배 인버스, SDOW는 3배 인버스 ETF입니다. DOG의 시총은 $167.36M, DXD의 시총은 $74.38M, SDOW의 시총은 $305.03M입니다. DOG, DXD, SDOW의 운용수수료는 0.95%로 동일합니다.

이 글을 마치며

지금까지 미국 주식 시장의 하락에 투자할 수 있는 미국 인버스 ET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미국 인버스 ETF에는 S&P500, 나스닥, 다우존스 지수별로 인버스로 투자할 수 있는 상품들이 다양하게 있었습니다. 또한 인버스 1배, 2배, 3배 상품이 각 지수별로 있어서 투자 판단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인버스 투자를 할 수 있었습니다.

미국 주식이 이상한데 싶을 정도로 고점을 끊임없이 형성해간다면, 단기적인 관점에서 미국 인버스 ETF도 좋은 투자처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버스 상품이기 때문에 정말 단기적인 관점으로 소액만 진입해야 하고, 손절라인 및 매도 시점에 대해 명확한 기준을 정하신 후 투자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저처럼 주린이인 분들은 인버스 상품은 투자에 참고 정도만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미국 인버스 ETF 외에도 다양한 ETF 상품들에 대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VIX ETF (변동성지수 ETF) : VIXY, UVXY, UVIX, SVXY, SVIX

미국 바이오 ETF : XLV, XBI, LABU

중국 주식 ETF : FXI, YINN, YANG

중국 인터넷 ETF : KWEB, CWEB

Similar Posts